한남금북정맥지도와 고도표
산경표에는 속리산 천황봉(1057.7m)에서 칠장산(491.2m)까지를 한남금북정맥, 칠장산에서 지령산(218.2m)까지를 금북정맥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강과(514km)과 금강(401km)의 물줄기를 가르며 사이로 뻗어 있는 마루금의 도상거리는 총 419.25km다. 이 중 147km는 한남금북정맥이고 나머지 272.25km가 순수한 금북정맥인 셈이다.
백두대간이 이 땅을 동서로 나눈다면 금북정맥은 남한의 중부권을 남북으로 나누는 산줄기다. 경기도 안성군과 속리산 천황봉이 있는 경북 상주군을 뺀다면 모든 산줄기와 고개는 충청도를 가로지른다. <태백산맥은 없다>를 쓴 조석필은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산경표에 ‘속리산→칠현산’이라 명시된 한남금북정맥은 그 시작과 끝이 명쾌하여 마음에 든다. 현대 지형도에서도 ‘속리산→칠현산’이기 때문이다. 한남과 금북의 갈림길을 정확히 말하라면 ‘칠현산(516m) 북쪽 2km에 위치한 칠장산(七長山492m)의 동남봉우리’다. 그러나 그 정도는 능히 칠현산으로 봐도 된다.
더구나 시작한 속리산 천황봉에서 깨끗하게 정맥을 내주고 있다. 속리산(俗離山1,508m), 말티고개, 선도산(仙到山547m), 상당산성(上黨山成), 좌구산(座龜山), 보현산(普賢山 481m), 칠현산(七賢山)의 선인 이 산줄기는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겹침산줄기므로 당연히 두 개의 정맥으로 갈라진다.」
「엄밀하게 말하면 칠현산(515.7m)은 한남금북정맥과 헤어진 금북정맥의 첫 산이다. 이후 서남쪽으로 마음을 정한 정맥은 안성의 서운산(547.7m), 청안의 흑성산(519m)을 지나 국사봉(403m)에서 국사봉(489m)으로 이어지는 충남의 두메를 이루며 광덕산(699m), 차유령을 품는다.
청양 일월산(560m)까지 내려오다가 오서산(791m), 보개산(274m), 수덕산(495m)을 이끌고 갑자기 북상하던 정맥이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니, 기수를 서로 돌려 태안반도에 들고자 함이었다. 성오아산(252m), 백화산(284m)으로 태안반도의 골격을 짠 정맥은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서해를 지키며 그 흐름을 멈춘다.
금강의 북쪽 울타리인 금북정맥은 북으로 아산만 지역의 넓은 들을 형성한다. 이 금북정맥과 한남금북정맥, 그리고 ‘매봉속리대간’으로 이어지는 선은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지방의 자연스러운 경계가 된다.」-<태배산맥은 없다> 305p.
◆ 산행계획
한남금북정맥은 고도도 있으며 조망이 아주 좋은 곳이 많은 곳이라 한다. 따라서 9월달부터 매주 두째주와 네째주 그리고 다섯째주 토요일날 광주로 가서 산악회와 합류하여 8개구간으로 나누어 종주를 하려고 한다.
언제나 그랬듯이 정맥종주는 참 재미가 있다.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한남금북정맥 도상거리 | ||
구간 |
종 주 코 스(km) |
도상거리(km) |
① |
대목리(천황사)-(2.7)-천황봉-(2.8)-667.3봉-(6.1)-갈목재-(1.7)-희엄이재-(2.8)-말티고개 |
16.1 |
② |
말티고개-(2.0)-새목이재-(2.5)-구룡치-(1.2)-수철령-(2.5)-백석리고개-(1.6)-구티재-(1.0)-탁주봉갈림길-(1.3)-작은구티재-(5.6)-시루산-(1.3)-구봉산-(2.0)-벼재-(0.8)-19번국도(대안리고개) |
21.8 |
③ |
19번국도(대안리고개)-(3.0)-쌍암재-(3.1)-602.1봉-(2.3)-살티재-(1.3)-국사봉-(3.2)-추정재(머구미고개)-(2.1)-483.1봉-(4.1)-선두산-(2.5)-선도산-(1.8)-현암삼거리 |
23.4(28.0) |
④ |
현암삼거리-(3.0)-상봉재-(1.1)-산성고개-(2.0)-상당산-(7.5)-이티재-(1.0)-구녀산-(1.8)-분젓치 |
16.4(19.0) |
⑤ |
분젓치-(1.8)-방고개-(2.5)-좌구산-(2.7)-질마재-(2.8)-칠보치-(1.7)-칠보산-(3.3)-송치재-(1.3)-모래재 |
16.1(18.0) |
⑥ |
모래재-(1.6)-보광산-(1.8)-고리티고개-(1.8)-내동고개-(2.7)-보천고개-(1.8)-가정자-(1.7)-행치고개-(1.0)-큰산-(2.2)-삼실고개-(1.8)-돌고개-(3.9)-보현산-(1.0)-감우리(승주)고개-(1.0)-감우리 |
22.3(26.5) |
⑦ |
감우리-(1.0)-승주고개-(2.6)-346.3봉-(3.7)-소속리산-(3.3)-21번국도-(4.2)-583번지방도-(3.0)-쌍봉1리고개(583번지방도)-(0.6)-쌍봉초교-(2.7)-583번지방도 |
21.1(25.8) |
⑧ |
583번지방도-(3.0)-대야리도로-(3.2)-마이산-(1.3)-화봉육교-(0.7)-황색골산-(0.7)-저티고개-(2.3)-9번지방도-(2.8)-걸미고개(안성CC)-(2.3)-좌벼울고개-(2.3)-칠장산-(1.2)-칠장사 |
19.8(21.2) |
♣ 한남 금북정맥이란 ♣
한남 금북정맥(총 도상거리 158.1km)은 백두대간의 속리산 천왕봉(1057.7m)에서 분기하여 북으로는 한강(총길이 494.5km)과 남으로는 금강(총길이 401km)의 분수계를 이루며, 충청북도를 북서방향으로 연결하고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까지 백두대간에서 남한의 정중앙을 잇는 큰 산줄기입니다.
속리산 천왕봉에서 내려온 한남금북정맥은 충북 보은의 구봉산등 500m급의 많은 봉우리를 넘으며 이어지다
청주의 선도산과 백제시대의 유명한 상당산성을 지나 괴산의 좌구산을 넘고, 음성의 보현산과 소속리산을
넘으면서 9구간정도 꾸준히 500m~600m급의 정맥 길로 줄기차게 이어오다 음성의 금왕읍을 통과하면서 표고 150m 이하의 구릉지대(도상거리 20여km)를 지나면서 끈질기게 이어지게 되고, 다시 이천의 마이산을 넘으면서 안성의 칠장산에 올라 한남금북정맥은 분기됩니다.
한남 정맥(총 도상거리 178.5km)은 칠장산에서 북서쪽으로 경기도 용인과 수원의 산줄기를 거쳐 부천과 인천을 지나 김포의 문수봉에서 한강하구로 그 맥을 가라앉히고, 남서방향으로는 금북 정맥(총 도상거리 282.4km)으로 이어지며 안성땅을 지나 충남의 천안과 예산의 산줄기를 거처 홍성과 당진, 서산을 지나 태안의 지령산에서 서해바다로 그 맥을 가라앉히는 3정맥 총 도상거리 619km에 달하는 큰 산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