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가는길/베트남,캄보디아 여행

베트남,캄보디아 여행 (앙코르와트)3

청계수 2016. 2. 9. 10:57

캄보디아 개황

캄보디아

[ Cambodia음성듣기 ]

지역 아시아 > 캄보디아
국가듣기

정식 국가 명칭은 캄보디아 왕국(Kingdom of Cambodia)이다. 수도는 프놈펜(Phnom Penh)이다. 캄보디아는 인도차이나반도 서남부에 있는 베트남, 라오스, 타이와 국경이 접해 있으며 동경 103˚~107˚ 북위 10˚~14˚에 있다. 면적은 18만 1,035㎢로 남한의 약 1.8배이며, 한반도 전체의 80%이다. 남북의 길이는 450㎞, 동서의 길이는 580㎞이고, 해안선은 340㎞이다. 2010년 기준으로 캄보디아 인구는 약 14,952,665명이며, 인구밀도는 75명/㎢이며, 인구증가율은 1.6%이다. 성비는 여성 100명 대비 남성 93.6명으로 여성 인구가 더 많다.

수도 프놈펜의 인구는 약 120만 명이며 면적은 375㎢이다. 민족은 90%가 크메르(Khmer)족이며 그 외 소수민족으로는 베트남인, 중국인, 참(Cham)족, 고산족이다. 공식 언어는 크메르어를 사용하는데 지식층 및 비즈니스 계를 중심으로 50대 이상은 불어를, 청·장년층에서는 영어를 사용한다. 종교는 불교이다. 국경일은 독립기념일인 11월 9일이다. 캄보디아의 국가모토는 국민(Nation), 종교(Religion), 왕(King)이다.

캄보디아의 정치체제는 입헌군주제로, 국가원수는 국왕이나 정부수반인 총리가 실질적인 국정을 운영한다. 국가원수는 노로돔 시하모니(Norodom Sihamoni) 국왕이며, 그는 부친 노로돔 시하누크(Norodom Sihanouk)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아 2004년 10월 29일에 즉위하였다. 정부수반은 캄보디아국민당(CPP, Cambodia People’s Party) 소속인 훈센(Hun Sen)이다. 의회는 양원제로 국회와 상원으로 구성된다. 국회는 임기가 5년이며 123석이고, 상원은 임기가 6년으로 61석이다.

2011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159억 달러이며, 1인당 국내총생산은 1039 달러이다. 화폐단위는 리엘(Riel)이며, 1달러당 4.034리엘(2011년 4월 기준)이다.

캄보디아 개관

캄보디아 개관
국명

캄보디아 왕국(Kingdom of Cambodia)

위치

인도차이나반도 동남부(베트남, 라오스, 타이와 접경, 동경 103˚~107˚ 북위 10˚~14˚)

면적

18만 1,035㎢(남한 1.8배, 한반도 80%)

민족

크메르족, 소수민족(베트남, 중국, 참족, 고산족)

언어

ㅇ 크메르(Khmer)어
- 지식층 및 비즈니스 계를 중심으로 불어 및 영어 통용
-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영어 사용 확산
- 화교 사회를 중심으로 중국어 통용

기후

열대몬순, 고온다습

인구

약 14,952,665명 자료: (2012년 US CIA World Fact Book)

수도

프놈펜(Phnompenh)

국가형태

입헌군주제

정부형태

의원내각제

종교

불교(국교, 96.4%), 이슬람(2.1%), 기타(1.5)

교육

6-3-3 제, 초등학교와 중학교(9년) 의무교육

국내총생산(GDP)

159억 달러(2011년 기준)

화폐단위

리엘(Riel)

국경일

독립기념일 11월 9일

캄보디아 위치

캄보디아
5000km
NAVER
지도 데이터
지도 확대 지도 축소

지도 컨트롤러 범례

부동산
거리
읍,면,동
시,군,구
시,도
국가

  • 캄보디아 이미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캄보디아 | 조회 133,706 | 의견 3 도움됐어요 5

    [내용] 정식 명칭은 캄보디아국(State of Cambodia), 수도는 프놈펜(Pnompenh)이다. 면적 18만 1035㎢, 인구 1060만여 명(1997년 현재)이다. 공용어는 크메르어이고, 종족은 크메르족(90%)·중국인(5%)·기타(5%)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교는 국민의 95%가 불교를 신봉하고 있다. 6세기 캄푸치아통일왕국이 수립되었고, 9세기부터 앙코르왕국이 번영하였다. 1863년 프랑스보호령이 되었고, 1949년 프랑스연합에서 한정적으로 독립하였다. 현재 헹 삼린을 중심으로 하는 캄푸치아인민공화국과 3자연합의 민주캄푸치아가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 시아누크는 1941년 왕위를 계승, 1945년 3월 독립을 선언하고 1953년 11월에 완전독립을 얻었다. 그는 2년 후 퇴위, 인민사회주의공동체를 결성하여 수상이 되고 1960년 국가주석에 취임하였다. 1957년 영구중립법을 선포, 비동맹외교를 표방하였으며, 1965년부터 미국과 4년간 단교하였다. 1970년 3월 론 놀 수상이 우익 쿠데타를 일으켜 외유중의 시아누크를 축출하고 친미정권을 세웠다. 독재로 치달은 론 놀 대통령은 국명을 크메르공화국(Repubic of Khmer)으로 개칭, 반공친미정책을 펴서 베트남전을 크메르에 끌어들였다. 북경(北京)에 망명한 시아누크는 민족통일전선을 결성하여 망명정부를 세우고, 공산혁명조직 크메르 루지는 론 놀에 대항하여 내전을 일으켰다. 1975년 4월 17일 크메르 루지군은 프놈펜공략에 성공하여 론 놀 정권은 5년 만에 무너졌다. 캄푸치아를 적화한 크메르 루지는 1976년 1월 민주캄푸치아를 선언, 시아누크를 국가원수에 옹립하였다가 4월에 키우 삼판을 국가간부회의 의장에 앉혔다. 수상 폴 포트와 부수상 겸 외상 이엥 사리가 실권을 장악한 민주캄푸치아정권은 전국민의 노동제, 도시민의 농촌 강제이주, 통화폐지 등 급진정책을 쓰고 약 200만 명을 학살하는 공포정치를 폈다. 1975년 5월부터 캄푸치아·베트남 국경분쟁이 일어나 양국은 1977년 단교하고 대규모 군사충돌을 일으켰다. 1978년 12월 캄푸치아구국민족전선(FUNSK)이 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아 폴 포트 정권을 공격, 다음해 1월 수도를 장악하고서 헹 삼린이 이끄는 캄푸치아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 1981년 4월 총선거, 5월 제4회 인민혁명당대회를 거쳐 6월 국회소집으로 신헌법이 제정되고 국가평의회장과 서기장을 헹 삼린이 겸임하였다. 헹 삼린 정권은 1979년 2월 베트남과 평화우호조약을, 1983년 2월 베트남·라오스와 인도차이나 3국수뇌회담을 가지고 협력협정을 맺어 베트남의 준위성국 상태에 들어갔다. 소련과는 1982년 7월 경제기술원조협정을 맺었다. 북경과 평양을 오가며 망명정권을 이끌던 시아누크, 타이국경지대에서 게릴라항전을 펴고 있는 폴 포트파의 키우 삼판 수상, 크메르인민민족해방전선(KPNLF)을 이끄는 손 산 의장은 1981년 9월 첫 3자회담을 열었다. 그 결과 1982년 7월 9일 민주연합정부(민주캄푸치아)의 성립을 선언하고 대통령 시아누크, 부통령 키우 삼판, 수상 손 산의 최고지도부를 구성하였다. 그 해 10월 25일 유엔총회는 캄푸치아대표권 표결에서 지지 90, 반대 29, 기권 26표로서 민주캄푸치아에 연속 4년째의 승리를 안겨주었다. 1991년 ‘파리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13년간의 내전이 종식되었으며, 1992년 설치된 UN캄보디아 과도 행정기구(UNTAC)의 감독하에 193년 총선이 실시되어, 입헌군주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시아누크를 국왕으로 하는 새로운 캄보디아 정부가 출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쌀과 고무의 농업국, 장기내전으로 경제가 핍박하여 외화수입책으로 캄보디아는 1982년 11월에 앙코르와트사원의 관광을 재개하였다. 1980년 3월 통화제도를 부활하였으며, 화폐단위는 리엘(riel)이다. 1996년 기준 국민총생산은 31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292달러이다. 1996년 기준 무역량은 수출 6억 5000만 달러(천연고무·쌀·후추·목재), 수입 11억 달러(원유·기계류)이다. 우리 나라는 시아누크시대인 1962년 7월 총영사관을 개설하였고, 2년3개월 후 무역협정을 체결하였으나 북한권투선수 망명거부사건으로 주프놈펜총영사관을 폐쇄하였다. 론 놀 정권이 들어서면서 양국은 1970년 8월 5일 수교합의하였다. 그러나 1975년 4월 크메르 루지의 프놈펜장악으로 단교하였다가 1997년 10월 다시 국교를 재개하였다. 한편, 북한은 1964년 12월 28일 수교합의한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캄보디아 이미지
    두산백과 | 캄보디아 [柬埔寨] | 조회 25,670 도움됐어요 2

    정식명칭은 캄보디아왕국(The Kingdom of Cambodia)으로 1993년 입헌군주제로 복귀했다. 인도차이나 반도 남동부 캄보디아 평원을 차지하는 평원국가로,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과 남동쪽으로 베트남, 북쪽과 서쪽으로 타이에 접하며, 남서쪽으로 시암만(灣:타이만)에 면한다. 국명은 프랑스어(語)인 'Cambodge'를 영어로 음역(音譯)한 것으로, 고대의 깜부자(Kambuja; 앙코르) 왕국에서 유래했다. 1975년에 폴포트(Pol Pot)가 이끈 크메르루즈(Khmer Rouge) 정권 시절에 잔인하고 무자비한 반대파 학살이 이루어져 15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행정구역은 20개주(khaitt), 4개 크롱(krong)으로 되어 있다. | 주요도시 | 캄퐁참, 콤퐁솜, 프놈펜 |

  • 캄보디아 이미지
    어린이 교과서에 나오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 캄보디아 | 조회 12,009 도움됐어요 1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의 인도차이나 반도 남서부에 있는 나라예요. 캄보디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국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동남아시아의 드넓은 영토를 다스린 크메르(앙코르) 왕국이에요. 크메르 왕국은 타이의 아유타야 왕국에 점령당할 때까지 웅장한 문화를 꽃피웠어요. 제2차 세계 대전과 제국주의 시대 때 캄보디아는 타이, 일본,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어요. 1953년에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지만 심각한 내전으로 계속 혼란을 겪었어요. 1975년에는 폴 포트가 이끄는 크메르 루주 공산주의자들이 무고한 국민들을 마구 학살한 킬링필드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지요. 이후 캄보디아의 여러 세력들은 국제 연합의 감독 아래 평화 협정을 체결했고 지금은 입헌군주국을 이루고 있어요. 캄보디아 국민들은 대다수가 불교를 믿으면서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생활하고 있어요. 그래서 사원을 중심으로 문화 활동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불교 승려들은 사회에서 존경받는 계층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요. 캄보디아 사람들은 크메르 왕국 때 지어진 앙코르 유적지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갖고 있어요. 국기와 화폐에도 앙코르 유적지를 그려 넣을 정도이지요. 캄보디아의 문화가 앙코르 유적지의 풍부한 조각과 건축물을 통해 전해 내려왔기 때문이에요. 앙코르 유적지는 오랜 내전과 외국과의 전쟁, 약탈, 관리 소홀 등으로 많은 피해를 입기도 했지만, 크메르 왕국의 독자적인 문화를 잘 담은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어요. 앙코르 유적지를 보기 위해서 전 세계 사람들이 캄보디아를 찾고 있답니다. 캄보디아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 앙코르 유적지

'캄보디아' 연관인물 (8) 도움말 보기

  • 노로돔 시아누크 [Norodom Sihanouk] | 두산백과

    캄보디아의 정치가 겸 인민사회주의연합 총재. 수상 겸 외무장관으로 취임, 국내적으로는 정치쇄신, 대외적으로는 중립주의 외교를 표방했다. 국외에서 국가 회복 운동의 지도자로서 투쟁을 계속해오다가 과도정부인 캄보디아 민족평의회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헌법개정으로 왕위에 복귀하였다.. 프놈펜에서 출생했다. 사이공 및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다. 1941년 4월 조부인 국왕 모니본 사망으로 왕위에 올랐다. 당시 프랑스 보호국이던 캄보디아의 독립을 염원하여 1945년 독립을 선언하고, 1949년 프랑스연합 내에서 캄보디아 독립을 획득하였다. 1955년 3월 왕위를 아버지 수라마리트에게 양위하고, 9월 총선거에서 압승하여 수상 겸 외무장관으로 취임, 국내적으로는 정치쇄신, 대외적으로는 중립주의 외교를 표방하였다. 1960년 4월 국왕이 사망하였을 때 왕위계승을 하지 않고 국가원수로 취임하였다. 따라서 캄보디아는 입헌군주국이지만 왕이 없는 상태였다. 1955년 이래 인민사회주의연합을 이끌며 거듭 ...

    연관인물 노로돔 시아누크 더보기
  • 론 놀 [Lon Nol] | 두산백과

    캄보디아의 군인·대통령(재임 1972~1975). 군대를 배경으로 우파의 중진이 되어 원수(元首) 노로돔 시아누크의 소련 방문 중 쿠데타를 일으켜 공화제 이행을 선언하고 대통령의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크메르루주가 게릴라전을 통하여 캄보디아 전 영토를 장악하자 국외로 탈출했다.. 프레이벵 출생. 군인의 아들로 1947년 바탐방 주지사, 군참모장, 국방장관 등을 역임한 뒤, 1963년 부총리가 되었다. 1966∼1967년 총리, 1968년 펜누트 내각의 부총리 겸 국방장관, 1969년 8월 다시 총리 겸 국방장관이 되고, 군대를 배경으로 우파의 중진이 되었다. 1970년 3월 원수(元首) 노로돔 시아누크의 소련 방문 중에 쿠데타를 일으켜, 그 해 10월 공화제 이행을 선언하고, 1972년 3월 대통령의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1975년 4월 급진적인 좌익무장단체인 크메르루주(Khmer Rouge)가 게릴라전을 통하여 캄보디아 전영토를 장악하자 국외로 탈출하였다.

    연관인물 론 놀 더보기
  • 훈센
    훈센 [Hun Sen] | 캄보디아 개황

    훈센(Hun Sen)은 2011년 현재 캄보디아의 총리이며, 공식 호칭은 삼데크 악카 모하 세나 파데이 데코 훈센이다. 훈센은 1951년 4월 4일 캄퐁참(Kampong Cham)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가족사항은 아내 분라니(Bun Rany)와 3남 3녀이다. 자녀 중 딸1명을 입양했다. 인드라 데비 고등학교(Lycee Indra Dhevi)에서 수학했다. 1991년 하노이대학 명예박사를, 1994년 남가주대학 명예박사를, 2006년 순천향대학교 정치학 명예박사를, 2009년 1월 우석대학교 경제학 명예박사를 수여 받았다.훈센은 1970년 반론놀(Lon Nol)정부의 지하운동단체인 마퀴스(Maquis)에 가입하였다. 1977년에 크메르루즈(Khmer Rouge) 동부지역의 특별연대장으로 재임하던 중에 폴포트에 반대하여 남베트남의 쏭베(Song Be) 주로 탈출한 뒤, 캄보디아 국민군 2만 명을 규합하여 크메르루즈 정권을 전복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다. 1979년 크메르루즈 정권을...

    연관인물 훈센 더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캄보디아 [Cambodia] (캄보디아 개황, 2011. 10., 외교부)

 

 

 

 

무지개를 건너면 만나는 건물

우리나라의 불국사 같은 큰 절에 가면 만나는 회랑 같은 곳이다

 

 

 

 

 

 

 

 

 

 

 

 

 

 

 

문을 통과 하면 나오는 넓은 광장

 

 

 

넓은 광장 중앙 통로  양쪽에 자리 잡은 도서관 역활을 하였던 건물이라고 함

 

 

 

또 한참을 걸어서 가야 한다 ~땡볕에

 

 

 

들어온 입구를 뒤 돌아 보니 사람들로 인산 인해다

 

 

 

 

 

 

 

 

 

 

 

우리 가이드 중앙 통로에서 내려서 작은 건물 로 향한다

 

 

 

 

 

 

 

안내판 앞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가이드

우리들을 땡볕으로 안내하여 설명을 하고 있다

문제는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설명과 더불어 맨아래 우측하단 에 나란히 있는 국기

앙코왓이 유네스코에 등재된 역사 와 함께 유네스코기와 캄보디아 국기 ,그리고 일본 일장기가 떡 하니 자라잡고 있으니

그내용을 설명하여 줄려구 우리들을 여기로 안내 하였다

 

내용인즉

캄보디아가 앙코르왓을 유네스코에 등재 할려구 하니 밀림에 그냥 버려져온 왕국을 복원사업을 할려구 하니 돈이 없어 일본이 그사실을 알고 자기들이 복구사업에 돈을 들여서 하면서 관광수입의 일부를 자기들의 지분으로 가지고 가고 일장기 까지 게시하도록  하였다고 하니

가는 곳 마다 미운짖은 골라서 하는 놈들이다 .

 

 

 

 

 

 

 

 

 

 

 

 

 

 

 

 

 

 

 

앙코르 왓 5개의 탑이 다 보이는 포토죤

그리고 연못에 투영 되어 나타나는 그림이 멋져 제일의 포토죤이다

 

 

 

 

 

 

 

 

 

 

 

 

 

 

 

 

 

 

 

 

말도 한마리 땡볕에 서 있다

 

 

 

 

 

 

 

 

 

 

 

 

 

 

 

 

 

 

 

 

포토존에서 사진 촬영을 하고 나무 그늘 아래로 모여 가이드 가 사주는  야자수 시원한 물을 한통씩 마신다

 

 

 

이ㅣ의자에 놓고 네곳을 잘라내어 구멍을 내고 빨대를 꼽아먹는다

 

 

 

야자수 물을 다마시고 나면 가게 꼬마 아가씨가 만들어준 스픈으로 야자수 안쪽 하얀 코코넛 을 스픈으로 긁어서 먹는다

어린 아이가 우리말을 너무 잘한다

가이드의 말을 빌리면 캄보디아 학교는 우리들의 엣날 시절 오전 반 오후반 이 있었듯이 여기도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누어 학교에 가며

영어수업이 4시간이면 한글 수업도 4시간이라고 함

그러니 우리말을 아이들이 잘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며

한국의 위상을 실감 하는 순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