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라이트... 삼봉산 1250m암봉
거창 대봉~삼봉산
1:25,000지형도= 농산. 무풍
2007년 9월 8일 토요일 맑음(22.1도) 습도72% 일조시간8.0hr 풍속1.6m/s 일출몰06:04~18:46
코스: 송계매표소11:30<3.2km>횡경재<1.7km>지봉1302.1m<2.5km>대봉1263m<1.0km>갈미봉1210.5m<2.3km>신풍령<4.2km> 삼봉산<2.5km>소사고개19:00 [도상17.4km/7시간 반소요 ]

지형도
개요: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송계통제소에서 횡경재로 올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과 무풍면을 거쳐나가다가 무주군과 거창군 고제면과의 접경선 소사고개로 내려서는 도상거리만도 17.4km에 이르는 이번구간에선, 신풍령 전후의 대봉(1263m)과 삼봉산(1254m)을 거쳐가야 한다.
바위 한 곳 없는 민둥산, 대간길과 투구봉(1274.7m)과의 분기봉인 대봉에선 덕유산국립공원의 전모가 떠 올라 향적봉에서 남덕유 정상까지의 굵직한 주능선이 용트림 하고, 주능선 동남쪽의 산그리메가 첩첩산파로 출렁거리는 장관을 목격할 수 있다.
북쪽으론 민주지산에서 대덕산까지, 동쪽으론 수도산에서 가야산까지, 그리고 그 틈새를 비집은 거창 방면의 두루봉, 양각산, 보해산..등등.. 남쪽으론 금원산에서 월봉산 거쳐 남덕유산까지의 하늘금이 그어져 사방으로 막힘이 없는 대봉이야말로, 이 지역 최고의 전망대라 할 수 있다.
@@@@@
또한 백두 대간의 신풍령재와 소사고개 중간에 우뚝하게 암봉으로 치솟은 삼봉산에선 대봉에서의 풍경들이 보다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삼봉산은 무풍면쪽으론 완만한 세 개의 봉우리로 보이지만, 동쪽 고제면쪽으론 천애절벽 아홉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온갖 형태의 만물상을 골고루 보여주는데, 그 아래 금봉암은 너무도 유명하다.
덕유산에서 대덕산으로의 연결고리를 연상케하는 삼봉산은, 덕유산 자락이 아님에도 [德裕三峰山 1254m]로 표기한 정상보다 훨씬 더 높아 보이는 500m거리의 1250m봉 암봉이 절경이다. 깍아지른 절벽 아래로 뚝 떨어지는 대간길, 소사고개에서 다시 치오르는 대덕산과는 너무도 멋진 대비로 앉아있다. 이번산길 횡경재 북쪽의 구천동천은 섬진강 물결타고 광양만으로 흘러간다.
그러나 신풍령 분수령에서 흘러내린 원당천과, 소사고개 분수령에서 대덕산 서쪽 물을 함께 받아낸 도마천은, 무주 남대천 물길따라 금강으로 흘러들어 서해에서 짠물과 만난다. 그리고 거창방면 남동쪽 계곡수는, 황강 물길따라 합천호에 한번 갇혔다가 창녕군 이방면의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부산 앞바다로 빠진다.

강물 갈라내는.. 신풍령고개 촬영: 세석산장
가는길: 송계통제소에서 송계계곡으로 들어간 합수지점 지봉방면, 계곡길 너무 뚜렷해도 대간길은 맥을 이어가야 한다. 두시간 쯤 가파르게 치오른 횡경재(1350m)엔 [←송계사삼거리3.2km/←향적봉(대피소)5.3km/신풍령7.8km→/송계통제소3.2km↓/←삿갓재(대피소)11.6km]이정표가 진행을 도와주는데 대간길은 일사천리다. 화강암 정상석 자빠뜨려진 지봉(1302.1m) 너머 월음재 안부 당도하면 이정표 아래로 무주구천동 신대휴게소로 빠지는 길 뚜렷하다.
그러다 억새 하늘거리는 펑퍼짐한 육산의 대봉(1263m)에 도착하면, 이정표[←신풍령3.6km/횡경재삼거리4.2km→/송계삼거리7.4km→]가 양팔벌려 반기면서 북쪽 지능선 투구봉(1274.7m) 가는 길을 삼거리 미역줄나무 틈새로 열어 놓았지만 악천후일 경우 독도에 주의해야한다. 동남쪽 갈미봉을 향하면 거창군에서 [갈미봉1210.5m]의 화강암 정상석을 박아넣었다. 안부로 내려선 고사목 헬기장 거쳐 [무풍438-1983재설]삼각점 박힌 1039.3m봉에선 투구봉(1274.7m)지척간이고 이정목은[←횡경재6.8km/신풍령1.0km→]를 가리킨다.
@@@@@
도근점 6개나 거쳐 도착한 [秀嶺], 날렵한 팔각정 아래로 옛 신풍령휴게소는 [경희단식원]으로 간판 바꿨다. 이어지는 대간길은 고제면 쪽으로 오분 내려간 안내문 뒤 이정목[빼재정상0.1km→]를 따라 오른다. 평탄한 육산 오름길은 수정봉 넘어 1010m봉 바위에 오르면 가야할 삼봉산 정상 주변 봉긋 떠오른다. 분기봉 거쳐 내려선 안부 숲속 이정목은 호절골재임을 알리고 [삼봉산1km→/←빼재3km/금봉암0.5km↓]날개 달았다. 그러나 금봉암길은 묵었고 그 지점에서 한참 치오른 노적봉에 가야만 금봉암과 연결되는 등로 살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