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가는길/한북정맥(漢北正脈)

한북정맥(錦北正脈)

청계수 2016. 11. 2. 13:23

한북정맥 11월5~6일(무박) 출발 
■ 한북정맥(錦北正脈) 개요
조선 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를 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 회양·화천·가평·남양주, 서쪽으로 평강·철원·포천·양주 등의 경계를 이루는데 자연히 동쪽은 한강 유역이고 서쪽은 임진강 유역이 된다.
이 정맥을 이룬 주요 산은 『산경표』에 분수령(分水嶺)·천산(泉山)·쌍령(雙嶺)·전천산(箭川山)·수우산(水于山)·여파산(餘破山)·오갑산(五甲山)충현산(忠峴山)·불정산(佛頂山)·대성산(大成山)·백운산(白雲山)·망국산(望國山)·운악산(雲嶽山)·주엽산(注葉山)·축석현(祝石峴)·불곡산(佛谷山)·홍복산(弘福山)·도봉산(道峰山)·삼각산(三角山)·노고산(老姑山)·여산(礪山)·현달산(見達山)·고봉산(高峰山)·장명산(長命山) 등으로 기록되었다.
이 산맥은 우리 나라 중부 지방의 내륙에 위치하여 비교적 높은 해발 1,000m급의 높은 산으로 연결되었다. 이것은 의정부 북쪽에 이르고 있어 예로부터 교통과 산업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동서의 기후 차이에도 관계 깊은 산줄기이다.
현대 지도에서의 산 이름으로 찾아보면, 추가령·백암산(白巖山)·양쌍령(兩雙嶺)·적근산(赤根山)·대성산·수피령(水皮嶺)·광덕산(廣德山)·백운산·국망봉(國望峰)·강씨봉(姜氏峰)·청계산(淸溪山)·현등산(懸燈山)·죽엽산(竹葉山)·도봉산·노고산·현달산(峴達山)·고봉산·장명산 등이다. 『산경표』와 같은 시대의 『대동여지도』와 비교해 보면 하구 쪽 파주시 교하면의 곡릉천(曲陵川) 유역을 『산경표』는 임진강 유역으로, 『대동여지도』는 한강 유역으로 대별한 것이 서로 다르다
.

산경도

 

 

 

 


낙동산악회 한북정맥 대원 모집공고

명칭

한북정맥 낙동산악회종주대

소구간

9구간 매월1, 3주 당일,무박

시작 / 마침

2016년11월 06일 / 2017년 03월 06일

참가비

금북정맥팀은 비영리운영체계이므로
상황에 따라 (1인/ m) 예정임,
중요 사항은 김부열대장 문의 바랍니다

연락처

김부열 대장 010-2813-3279

모집인원

정예 선착순 40명

버스

40인승 대형리무진버스

출발지

하단, 구포역, 강서체육공원건너,
출발장소 아래 도표 참고바랍니다

산악보험

개인적으로 상해보험 꼭 이용바랍니다.

준비물

산행에 필요한 장비, 간식 및 식수,
나침반. 필기구, 중식(매식), 기타 필요한 장비

 

 

 

차량 출발지 및 경유지

1호선하단역

22:00

하단역1번 출구 세양병원 앞

3호선 구포역

22:20

구포역 3번 출구 육교밑

강서체육공원

22:25

강서구청옆 고속도로입구

참여자는 아래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예시: 실명/연락처/승차지)